About 오동나무 벼루함&휘가사 우리 가구의 쥐벽칸이나 머름칸 알판 등의 여백을 채우는 기법과 나무는 다양하지요. 죽절,화각,안상문 또는 괴목이나 먹감나무 대칭결 그리고 완전 대칭은 아니지만 단풍과 둥근 무늬의 구수목을 이용한다거나.. 그 하나가 휘가사 나무를 이용한 방법인데 휘가사 나무는 고가구.. 오래된 시간/고가구-About 2017.01.20
About 배나무 함 이 함에 책이나 서류 같은 종이류를 보관하지 말라는 법은 없지만 벼루함이 따로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함에는 보통 서예 도구를 보관했고 서류함은 사용상의 필요에 따라 좀 더 길게 만들어지지요. 그리고 오동나무의 경우 기물 전체에 적용시키는 사례는 미미 합니다. 충청도.. 오래된 시간/고가구-About 2017.01.20
About 남해반닫이 연대, 지역 몸체가 경상도 전형보다 상당히 크고, 전라도(고흥 지역~) 형식에 가까운 서랍 배치, 경상도,전라도 섬 해안 반닫이에서 많이 나타나는 감잡이, 밑에 있는 가재 반닫이 경첩 몸체와 같은 광두정 투조 방식으로 볼 때 70~80년쯤된 남해 후기형 반닫이로 생각됨니다. 이 반.. 오래된 시간/고가구-About 2017.01.20
About 빗접 거울의 보급이 100~120년 쯤 되므로 빗접과 경대의 연대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겠고, 의걸이장이나 평양 반닫이, 경기 찬장, 화류장 등에서 거울이 있는 기물들의 연대 측정이 가능하겠지요. 한일 합방이후 많은 우리 기물들의 색상, 장석, 형태, 제작기법 등 여러 부문에서 왜색풍(지.. 오래된 시간/고가구-About 2017.01.20
About 전라도 혼수 반닫이 99% 해방 전후 전라도 혼수감 같습니다. 따라서 선물이나 혼인을 위해 장만하든 어느 쪽이든 주문으로 제작된 기물일 가능성이 많구요. 장석 문양 길상문에서 12간지 동물이 나오면 먼저 주역에서 의미하는 바를 알아야 되는데, 주역까지 이해할 필요는 없고, 대충 외워두는 것도 .. 오래된 시간/고가구-About 2017.01.20
About 경기 개성반닫이 반닫이가 아니고 앞닫이 문짝과 문짝 아래 전판을 만들 때 (문)변자를 만들어 가운데 알판을 넣는 방식으로 제작하면 앞닫이 라고 합니다.(쌈질) 이때 알판을 양쪽에 두개로 만들 수도 있고, 하나로 만들 수도 있겠지요. 그리고 문짝이나 전판이 통판으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변자.. 오래된 시간/고가구-About 2017.01.20
About 경기 북부 책반닫이 북한 책 반닫이 卍자 투각과 감잡이의 칠보 문양으로 경기 책 반닫이라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 제가 보기엔 망설임 없이 북한의 남쪽 반닫이라 생각합니다. 卍자 투각의 이런 여백 형태는 북한 농의 약과형 경첩에서도 종종 나타나고 판재와 경첩의 두께가 경기보다는.. 오래된 시간/고가구-About 2017.01.20
About 행자목 돈궤 이 기물은 충청도 윗닫이 궤로 보입니다. 아주 많은 정성을 들여서 반듯하게 만든 궤입니다. 만든이의 성품이 잘 들어나는 작품이네요. 약과형 감잡이을 사용하고 옆 판 들쇠 중심에 다이아몬드같은 돌기가 인상적이네요. 장석을 많이 사용하지 않고 나무공간을 많이 드러나게 만.. 오래된 시간/고가구-About 2017.01.20
About 돈궤 장석과 문양 돈궤 장석(감잡이, 광두정,....) 돈궤 장석 역시 궤의 크기, 시대, 지역에 따라 장석도 다양하고 불규칙적인 변수가 많은데 그 중 궤의 크기에 따른 장석 적용의 유무를 말씀드리자면 , 보통 1치를 30센치로 생각할 때 1치반에서 2치반 사이의 가로 길이 안에 있는 크기 돈궤에서는 감.. 오래된 시간/고가구-About 2017.01.20
About 미완의 경기 책반닫이 미완의 경기도 책반닫이 할머니때부터 3대라!!!! 최초에 구입 장소가 경기도이거나 아니면 소목장이 사정상 미완으로 남긴 경기 책 반닫이 같습니다. 뒷판의 결속 방식을 보면 윗 사개물림 반닫이나 경기, 평양, 개성 신주나 백통 또는 경기 기물 즉, 윗 사개물림을 할 때 방식으로 .. 오래된 시간/고가구-About 2017.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