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감나무 연상 硯床<판매되었습니다> 가로 24 깊이 38 높이 30 연상 硯床 - 문방사우 중 필묵(筆墨)을 보관하는 가구. 연상 硯床은 문방사우 중 먹과 벼루 붓등을 보관하는 가구로 선비의 사랑방 보료 앞에 놓고 서안과 더불어 애용하였다고 해요. 이 연상은 두 개의 상부 뚜껑과 서랍 문판이 먹감나무로 만들어졌고 그 외의 면과.. 오래된 시간/숨결 - 가구 2017.06.12
옛날 다리미들 숯을 담아 달구거나 숯불에 올려 달구거나 무쇠를 달구어 옷을 다리는데 쓰던 옛날 다리미들여요. 간혹, 굴뚝 다리미를 보면 여학생 시절 교복을 다려입던 추억을 말씀하시는 고객님이 계셔요. 교복을, 하얀 교복 카라를 어찌어찌 다렸고 어쩌다 실수로 교복을 태워먹었던 일화까지, 지.. 오래된 시간/꾸밈 - 소품 2017.06.05
고가구 화각장<판매되었습니다> <화각이란?> 화각(華角)공예는 쇠뿔을 얇게 종잇장처럼 얇게 갈아 투명하게 만든 뒷면에 색채로 그림을 그려 비쳐 보이게 한 후 목재로 된 기물의 표면에 접착제로 붙여 치장하는 것을 말한다. .. 화각은 백골(白骨)을 만드는 소목장 일, 쇠뿔을 펴서 얇게 만드는 각질장 일, 뿔편위에 .. 오래된 시간/숨결 - 가구 2017.04.12
고가구 작은 소나무 돈궤<판매되었습니다> 가로 62 깊이 28 높이 26 소나무로 만들어진 돈궤여요. 돈궤가 지역적인 분류가 어려운 경우가 많기도하지만 이 돈궤의 경우 고재에 오랜 옛장석을 덧붙인 경우여서 분류할 수가 없겠어요. 깔끔하게 똑 떨어지는, 뭔가 정형화된 멋은 부족하지만 작은 사이즈에서만 느낄 수 있는 아담하고 .. 오래된 시간/숨결 - 가구 2017.04.12
먹감문 찬장<판매되었습니다> 가로 102 깊이 53 높이 114 몸판은 참죽나무, 문판은 먹감나무로 만들어진 찬장여요. 참죽나무의 빛과 결과, 먹감나무의 문양이 어우러져 한 폭의 그림같아요. 상부 먹감문, 하부 유리문으로 구성해 놓았지만, 구성하기에 따라 상,하부 문의 위치를 바꿔 분위기를 달리할 수도 있어요. 53센티.. 오래된 시간/숨결 - 가구 2017.03.31
About 장[欌]의 구분과 종류 옷장 옷을 보관하는 용도로 제작된 가구이며, 주로 안방에 놓고 여성들이 사용하였다. 규모에 따라 일층장, 이층장, 삼층장의 층의 변화가 있고, 보관물의 양에 따라 2~3개를 함께 놓고 사용하기도 하였다. 각 층에 따라 보관하는 내용물이 달랐다. 이층장의 경우 철이 지나 입지 않는 옷은.. 오래된 시간/고가구-About 2017.03.27
About 장[欌] - 세부 명칭과 구조 장[欌]이란? 장은 농과 달리 층이 분리되지 않고 널과 기둥 또는 널과 널을 결속한다. 즉 장은 여러 층으로 되어 있어도 앞널과 측널이 하나로 구성된다. 장의 발생이나 기원에 관한 구체적인 문헌 기록은 없으나 1775년에 간행된 《역어유해보 譯語類解補》에 수궤(竪櫃)라는 기록이 있다... 오래된 시간/고가구-About 2017.03.27
About 농[籠]- 세부명칭과 구조 농[籠] 이란? 농은 버들이나 싸리, 대나무 등을 엮어 만들고 겉과 속에 종이를 바른 자그마한 가구로써 그릇 또는 옷 따위를 넣어 두는 데 사용되었다. 농은 원래 죽기(竹器)를 의미하였던 것인데 나무나 버들로써 만든 것을 농이라고 불렀다. (徐有" 『林園經濟志』 贍用志 卷3) 『고려도경.. 오래된 시간/고가구-About 2017.03.27
About 반닫이 - 세부 명칭과 구조 반닫이란? 반닫이는 앞면을 반으로 나누어 한쪽 면만을 여닫도록 만든 가구이다. 반을 여닫으므로 반닫이라 부르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문을 앞쪽으로 열고 닫는다 하여 앞닫이라 부르기도 한다. 계층에 구애 없이 사용했던 반닫이는 오히려 장, 농보다 필수적인 혼수용품이었다. 그래서 .. 오래된 시간/고가구-About 2017.03.23
빈티지 빵틀 포도문 큰 빵틀 지름 18.5 닭과 물고기문 작은 빵틀 지름 14.5 신주로 만들어진 빵틀여요. 포도와 물고기 빵틀은 사용감이 있고 닭모양의 빵틀은 사용한 적이 없는 새것이어요. 상태가 모두 깨끗해서 빵틀로 실사용할 수도 있고 주방의 한쪽 면에 사진처럼 벽걸이 장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 오래된 시간/올드-Vintage 2017.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