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시간/고가구-About

About 장[欌]의 구분과 종류

다연바람숲 2017. 3. 27. 14:34

옷장

옷을 보관하는 용도로 제작된 가구이며, 주로 안방에 놓고 여성들이 사용하였다. 규모에 따라 일층장, 이층장, 삼층장의 층의 변화가 있고, 보관물의 양에 따라 2~3개를 함께 놓고 사용하기도 하였다. 각 층에 따라 보관하는 내용물이 달랐다. 이층장의 경우 철이 지나 입지 않는 옷은 일층에 두고 계절마다 자주 입는 옷은 이층에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천판 밑으로 서랍을 두어 작은 물건을 보관했다.

* 이층 옷장

* 삼층 옷장

 

 

의걸이장

장의 내부에 횃대가 있어 의관을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제작된 장으로 옷장이 여성들의 전유물이었다면 의걸이장은 주로 남성의 의복을 보관했던 장이다. 현대의 양복장과 비슷한 용도로 일층이나 이층으로 구성된 경우가 많다. 이층 의걸이장인 경우 일층은 여닫이나 미닫이 구조이며, 신발, 관모 등을 보관했다. 이층은 횃대가 있어 두루마기 등을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문판은 통문과 살문이 있는데 통문은 문변자와 알판이 조합된 형태가 많고, 살문은 한옥의 문과 같이 문살에 종이 혹은 천을 발라 썼다. 살문은 대개 아()자문이 반복되는 격자문으로 조형성이 뛰어나다.

*의걸이장

 

 

책장

책장은 남성들이 머물렀던 사랑방에 놓고 책을 보관했던 가구이다. 책의 양에 따라 장의 폭과 층고가 확대된다. 책장은 문판 밑의 머름칸의 층수가 적고 문판 하부의 머름칸이 없는 경우도 있다. 이는 책을 넣고 꺼낼 때 문턱에 걸리는 불편을 덜기 위한 방편으로 이해된다. 간혹 문판 뒷면에 도서명이나 책의 수량 등을 써넣어 보관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기한 경우도 있다.

*이층 책장

*삼층 책장

*사층 책장

 

 

반닫이장

반닫이와 장의 기능이 혼합된 형태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윗층은 옷을 보관하는 장의 형태인 반면 아래층은 반닫이의 모양을 하고 있다. 주로 전라북도와 충청도지역에서 많이 나타난다. 아래층에는 장기간 입지 않는 옷을 보관하고 위층은 자주 입는 옷을 넣어둔다. 안방에 놓고 사용하는 여성용 수납가구라 할 수 있다.

 

*반닫이장

 

 

 

머릿장

기거하는 방의 머리맡에 놓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든 장으로 대부분 단층으로 제작한다. 옷과 서류 등을 보관하며, 천판 위에는 애완품()이나 작은 물건을 올려놓기도 한다.

사랑방에서 쓰는 머릿장은 몸체가 단층 정방형에 문이 있고 천판 밑으로 서랍을 둔다. 천판은 두루마리 개판으로 제작되어 서안이나 경상의 형태와 흡사하게 만든다. 천판을 몸통보다 돌출시켜 양 귀 하단에 귀받침을 부착하여 개판을 보강한다. 마대는 풍혈이 있는 호족형 다리가 일반적이다. 안방에서 쓰는 머릿장은 마치 장농을 축소시킨 것처럼 크기가 작아 흔히 '애기장' 혹은 '버선장'이라 불린다.

*머릿장

 

 

찬장

찬장은 찬방() 혹은 대청에 놓고 일용식기 외에도 각종 반상기를 넣어 보관했던 장이다. 많은 양의 그릇이나 음식물을 쌓아 두고 사용했으므로 그 무게를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굵은 기둥과 두꺼운 판재를 사용했다. 튼튼한 짜임새가 요구되므로 기둥과 쇠목은 특히 굵은 소나무, 목리가 좋은 느티나무, 참죽나무를 쓰고 장석은 견고한 무쇠장식을 달았다.

형태상 옷장과 크게 다르지 않으나 문판이 크고 다른 가구에 비해 기둥과 쇠목이 견실하여 매우 육중한 맛을 준다. 넣고 꺼내기 편리하도록 네짝의 문판을 경첩으로 연결하여 개구부() 공간을 크게 확보하기도 한다. 찬장은 이층, 삼층이 대부분으로 전면이 같은 판재로 구성하였다. 문판은 대부분 판재로 제작하나, 한지나 천을 바른 살문의 찬장도 있다.

*이층 찬장

*삼층 찬장

*사층 찬장

 

 

문갑장

문갑장은 문갑과 장의 기능이 합해진 형태의 가구이다. 윗층은 장의 형태이고 아래층은 문갑의 형태이며 반대인 경우도 있다. 사랑방이나 안방에서 문방구, 문서, 그 밖에 작은 물건 등 다양한 용품을 수납한다. 수납할 용품에 따라 서랍, 선반 등을 설치하며, 주로 복층을 이룬다. 안방에서 사용되는 여성용 문갑은 재료와 장식 등이 화려하며, 반면 사랑방에서 쓰이는 남성용은 검소하게 제작하였다. 재료는 소나무·오동나무·배나무·먹감나무 등이 주로 쓰인다.

*이층 문갑장

*삼층 문갑장

*사층 문갑장

 

 


 

[네이버 지식백과] [欌] (목가구, 2011. 10. 15., 국립민속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