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 못지않게 삶이 주목을 받는 화가가 바로 고흐일 것이다. 그만큼 그의 삶은 예술만큼이나 극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작 고흐가 죽음으로 치달아가던 그 시기에 대한 기록들은 애매모호하기 그지없다.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고흐가 무엇 때문에 귀를 자르는 문제의 사건을 일으킨 것인지, 여전히 정확하게 알려진 사실이 없다.
고흐의 대표작으로 유명한 [까마귀 나는 밀밭]이라는 걸작을 둘러싼 설왕설래도 마찬가지이다. 대체로 이 그림은 고흐의 마지막 작품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과 다르다. 정황으로 봐도 이 그림을 그리다가 고흐가 자살에 이른 것이라고 보기 어려운데, 빈센트 자신이 1890년 7월 10일 경 테오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그림에 대해 언급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신이 동생들에게 짐이 되고 있다는 사실을 참기 힘들다는 내용과 함께 “불안한 하늘 아래 펼쳐진 거대한 밀밭”을 담은 그림 3점을 그렸다고 전했던 것이다. 고흐는 이렇게 말한다.
나는 명료한 정신으로 극도의 슬픔과 고독을 표현하고자 노력했어. 곧 볼 수 있을 거야. 가능한 빨리 파리에 가져가려고 생각하니까 말이야. 나는 이 그림들이 내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 내가 시골에서 얼마나 건강하고 활기에 차 있는지를 말해주리라고 확신하기 때문이야.
이 진술에서도 고흐의 마음이 여전히 상반된 감정상태를 오가고 있다는 사실을 어렵지 않게 읽어낼 수 있다. [까마귀 나는 밀밭]이 “극도의 슬픔과 고독을 표현”했다고 말하는 한편으로 이 그림을 보면 자신이 지금 “얼마나 건강하고 활기에 차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하는 것이다. 고흐가 이 편지에서 강조하고 싶었던 것은 자신의 슬픔과 고독을 이제 스스로 돌아볼 수 있게 되었다는 자신감이지만, 얼마 뒤에 실행한 자살을 염두에 둔다면, 이 편지에서 교차하는 감정의 굴곡은 범상한 것이 아니라고 하겠다.
죽음이라는 막다른 상황에 내몰린 고흐
어쨌든 이 편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까마귀 나는 밀밭]은 자살 직전에 고흐가 그린 그림이라고 보기 어렵다. 대신 어떤 역사가들은 [세 개의 뿌리]라는 작품을 생애 최후의 작품으로 지목하고 있는데, 이 또한 그냥 주장에 불과할 뿐이다. 고흐의 마지막에 대해서 알려진 것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다만 그가 남겨 놓고 간 작품들을 토대로 여러 가지로 추측을 해보는 것이 고작이다.
![]() |
![]() |
[세 개의 뿌리] 1890년 |
[오베르 부근의 풍경] 1890년 |
|
[흐린 하늘을 배경으로 한 밀밭] 1890년
캔버스에 유채, 50.5cmx103cm, 반 고흐 미술관
|
'창너머 풍경 > 감성 - 통하는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사랑 내 곁에 - 럼블 피쉬 (0) | 2011.05.21 |
---|---|
슬픔보다 더 슬픈 이야기 / 김범수 (0) | 2011.05.03 |
The memorable tide / Moonshine (0) | 2011.04.22 |
사랑은 봄비처럼 이별은 겨울비처럼 / 임현정 (0) | 2011.04.07 |
Those Were The Days / Mary Hopkins (0) | 2011.04.06 |